empty.co.kr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 empty25 | empty.co.kr report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 empty2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empty25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22:51

본문




Download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hwp






2. 지은이
金萬重(김만중) 1637~1692 (56세)
조선 후기 문신, 소설가, 본관 光山(광산), 아명 船生(선생), 자 重叔(중숙), 호 西浦(서포), 시호 文孝(문효). 金長生(김장생)의 증손, 충렬공 益謙(익겸)의 유복자, 숙종의 장인인 광성부원군 萬基(만기)의 아우, 숙종대왕의 초비인 인경왕후의 숙부, 해평 윤씨부인의 아들.
14세에 진사 초시에 합격, 16세에 진사에 장원 급제, 29세에 정시문과에 급제, 1666년에 正言(정언), 1667년에 持平(지평), 修撰(수찬), 1668년에 經書(경서) 校正言(교정언), 校理(교리), 1671년에 암행어사로 副校理(부교리), 1674년까지 獻納(헌납), 副修撰(부수찬), 校理(교리) 등을 지냈고, 1675년 同副承旨(동부승지)로 있을 때 관직을 박탈 당했다.
‘조선 사람은 조선어로 글을 써야 한다’는 국민문학론을 제창하였고, 통속소설을 많이 썼다고 하나 전하는 작품은 <九雲夢(구운몽)>과 <謝氏南征記(사씨남정기)> 뿐이고 저서에 <西浦集(서포집)>, <西浦漫筆(서포만필)>, <尹氏行狀(윤씨행장)>이 있다
김병국 김병국, 『한국 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258~266면
은 김만중을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고 천부적인 글재주와 진보적인 사상을 지녔으며 청렴결백의 실천인이었다고 평가했다. 1687년에 평북 先天(선천)으로 유배 당했다가 풀려난 지 3개월 뒤인 1689년 다시 경남 南海(남해)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56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몽자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 서포 김만중의 九雲夢(구운몽)에 대해 전체적인 것들을 개괄...


서포%20김만중의%20구%20%20운%20%20몽_hwp_01.gif 서포%20김만중의%20구%20%20운%20%20몽_hwp_02.gif 서포%20김만중의%20구%20%20운%20%20몽_hwp_03.gif 서포%20김만중의%20구%20%20운%20%20몽_hwp_04.gif 서포%20김만중의%20구%20%20운%20%20몽_hwp_05.gif 서포%20김만중의%20구%20%20운%20%20몽_hwp_06.gif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1. 들어가는 말 몽자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 서포 김만중의 九雲夢(구운몽)에 대해 전체적인 것들을 개괄...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Download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hwp( 70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1. 들어가는 말



설명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1. 들어가는 말
몽자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 서포 김만중의 九雲夢(구운몽)에 대해 전체적인 것들을 개괄적으로 알아보겠다.

3. 창작 시기
창작 시기에 대하여 장덕순 장덕순,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일지사, 1984, 176면은 남해 유배시에 지었다고 보고 있으나, 정병욱 정병욱, 「서포의 생애와 인물」, 1972 (『한국 고…(To be continued )
다.
전체 7,62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empty.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