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04:55
본문
Download : 장애인의이해.ppt
장애인의이해,인문사회,레포트
장애인의이해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장애인의이해.ppt( 36 )
장애인의이해
순서
장애인의이해 , 장애인의이해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인의이해
장애인의 이해
제1부|장애와 discrimination
Part 1 !
장애의 새로운 인식을 위하여 :
culture 비판으로서의 장애의 사회사
장애의 의미는 나라마다 culture마다 다름
세계보건기구가 추정한 장애인 비율▶ 10%
한국의 장애인 비율▶ 2~3%정도라면
→ 실제로 장애인의수의 문제라기보다는
장애인을 판정하는 범주의 문제
- 장애를 보는 시각
- 장애를 보는 시각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장애의 관념: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것으로
손상(의료적 모델의 심신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를 의미), 불능(일상 활동에서의 장애),
불리(불이익· 편견· discrimination 경험)로 손상이라는
생의학적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고
기초하는 것
- 장애를 보는 시각
장애의 문제는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문제이지만,
歷史· 사회적으로는 질적 discrimination의 문제임
장애는 property(특성)이 아니고
현재의 상태(특정 조건하에서의
기능상을 제한)로 보아야 함
장애에 관한 사회적인 인식은
만성 질병에 대한 인식과 유사하게
스티그마와 관련을 맺고 있음
- 장애를 보는 시각
스티그마는
보통 오점 또는 불신의 징표라고
말해지는데 고프만은 이를 오염된
사회적 정체성(육체적 행위,
전문적 역할, 자아 관념)으로 보았고,
사회가 한 개인을 완전히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는 어떤 것으로 定義(정의) 함
- 장애를 보는 시각
스티그마의 유형은
어떤 사회에서 존재하는 보편적인 현상
3가지의 유형으로 나뉨
① 육체적 변형 ② 흔적 ③ 편견
이 세 가지의 유형은 중첩이 될 수도 있고
서로 강화가 될 수도 있음
- 장애를 보는 시각
스티그마화된 사람들의 reaction response
: 무관심, 고립, 부차적 이익 챙기기,
저항, 간과, 감추기 등
자신에 상대하여도 독특한 신념을 갖게 됨
이 스티그마 theory(이론)은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 또는 장애를 이해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항목…(투비컨티뉴드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