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과정과 교원 정책’에 관한 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19:52
본문
Download : ‘제7차 교육과정과 교원 정책’에 관한 토론.hwp
그러나 문제는 이 두 가지 요구 사이에 혹시 갈등의 요인은 없는가 하는 점이다.
이렇게 볼 때, 제7차 교육과정은 한편으로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교원 임용 정책과 전문성 신장이라는 두 가지 방향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고 하겠다. 만일 …(省略)
설명
다. 다만 이러한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문제는 무엇이 일차적인 관심사이고 무엇이 부차적인 문제인지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판단하는 일이다. 유연성과 개방성의 강조는 자칫 전문성의 약화를 초래할 위험이 있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어, 제7차 교육과定義(정의) 도입과 관련하여 최근 부전공 및 복수전공 교사의 확충이 강조되고 있는 바, 이러한 제도가 4년간 하나의 과목만을 준비하도록 하는 현재의 제도에 비해 각각의 과목에 대한 교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따 특히, 복수전공 교사나 또는 부전공 교사를 확대하기 위해 전공별 이수 학점을 지나치게 하향 조정할 경우, 교사의 자질 저하라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아마도 복수 전공자의 경우에 대학 재학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이러한 문제점(問題點)을 방지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方案)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또한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강사의 자격 범위를 넓히고 그 임용 범위를 확대할 경우, 과연 강사들의 자질이 적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점도 의문의 여지가 있따
사실상 정책의 결정에는 항상 갈등의 요소들이 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점에서 정책결定義(정의) 과정은 타협과 조定義(정의) 과정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방안(方案)이 갈등을 일으키는 요구 사항들을 동시에 충족시켜주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과 교원 정책’에 관한 토론
다른 한편으로 제7차 교육과정 중 특히 고등학교에서의 심화 선택과목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의 경우 교과 전문지식을 포함한 교원으로서의 전문성 신장...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제7차 교육과정과 교원 정책’에 관한 토론.hwp( 70 )
레포트/인문사회
다른 한편으로 제7차 교육과정 중 특히 고등학교에서의 심화 선택과목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의 경우 교과 전문지식을 포함한 교원으로서의 전문성 신장... , ‘제7차 교육과정과 교원 정책’에 관한 토론인문사회레포트 ,
다른 한편으로 제7차 교육과정 중 특히 고등학교에서의 심화 선택과목을 담당하게 될 교사들의 경우 교과 전문지식을 포함한 교원으로서의 전문성 신장은 매우 중요한 Task 가 된다 더 나아가 초등·중학교 단계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깊이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특히 교과 내용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이 매우 중요한 Task 로 부각될 것이다.